국악의 음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16:26
본문
Download : 국악의 음계.hwp
계면조
오늘날 우리 음악은 대부분 계면조라고 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 `황협중 임무`…(drop)
설명
,예체능,레포트
다. 그러나 음계 속에 음의 배열방...
음계와 선법 서양의 음계를 7음 음계라고 하고 우리 음악의 음계를 흔히 5음 음계라고도 말한다. 그러나 음계 속에 음의 배열방... , 국악의 음계예체능레포트 ,
국악의 음계
음계와 선법
서양의 음계를 7음 음계라고 하고 우리 음악의 음계를 흔히 5음 음계라고도 말한다. 다만 평조로 된 여민락, 보허사, 도드리 곡에서는 6음음계(황태 중임남무)로 되어 있따 또 판소리, 산조 등의 음악에서는 남려가 반음높은 무역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음계 속에 음의 배열방법, 즉 선법에 따른 음계의 차이가 있따 서양음악의 선법에 장조와 단조가 있듯이 우리 음악에도 평조와 계면조가 있따 평조는 정대하고 화평하며 계면조는 슬프고 애절한 느낌을 준다.
Download : 국악의 음계.hwp( 25 )
음계와 선법
순서
레포트/예체능





서양의 음계를 7음 음계라고 하고 우리 음악의 음계를 흔히 5음 음계라고도 말한다.
평조
주로 5음 음계로서 황종을 기본음으로 할 경우 `황태중임남`의 5음으로 되어 있따 이 가운데 황종을 떨고(요성) 중려에서 태주로 진행할 경우와 남려에서 임종으로 진행할 경우 중려와 남려를 끌어내리는 것(퇴성)이 특징이다.
정악의 경우는 뚜렷이 두 선법을 구분할 수 있으나 민속악은 두 가지만으로 나누기 어려운 면이 있따 특히 판소리의 경우 평조니 우조니 계면조니 하는 것은 악보상의 分析에 의한 선법 이라기 보다는 소리꾼의 음색과 음량을 청각에 의해 분별한 것으로 넓은 의미의 창법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