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상실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0:42
본문
Download : 기억상실증_1143164.hwp
후최면성 건망증은 깊은 최면상태에서 일어나는데, 최면에 걸린 사람은 최면술사가 지시한 암시에 따라 자신이 행한 일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 절차적 기억 장애(precedural memory disoder)
절차적 기억(Procedural Knowledge)이란, 행위, 기술, 조작에 관한 기억이다.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 기억상실증의 定義(정이)
▲ 기억상실증의 종류
▲ 기억상실증의 예들
▲ 두뇌의 부위별 기억의 종류
- 최면 후 기억상실 (posthypnotic amnesia)
최면술사가 피test(실험) 자에게 최면을 걸어 깊은 최면상태에 빠지게 한다. 기억장애는 뇌진탕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대부분 사고 당시를 기억하지 못하며, 의식이 회복되더라도, 영원히 그 사고 당시의 기억을 못 할 수도 있다
- 단어기억상실 (verbal amnesia)
뇌수술 후에 많이 일어나는 기억상실증으로, 상대방의 이름이나 단어 등이 생각나지 않는 기억상실증이다.
- 뇌진탕후기억상실 (postconcussional amnesia)
뇌진탕이란 일반적으로는 외상을 받아 반고체인 뇌가 단단한 두개골 안에서 흔들려 뇌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가 다시 회복되는 경미한 뇌손상을 말한다. 예를 들면, 언어의 이해/습득, 자전거 타기를 들을 수 있다 절차적 기억은 비의도적으로 접근, 자동적으로 처리되는 기…(省略)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기억상실증_1143164.hwp( 62 )
순서
기억상실증기억상실증 , 기억상실증공학기술레포트 ,
기억상실증
기억상실증
기억상실증
다.
- 외상 후 기억상실 (posttraumatic amnesia)
외상 후 기억상실이란, 교통사고, 산업 재해, 스포츠 손상 등 각종 사고로 인하여 머리에 충격을 받거나 상처를 입은 후 기억상실로 이어지는 경우의 증상을 말한다.
- 유아기 기억상실 (infantile amnesia)
유아기 기억상실은 어릴 때 일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서술적 기억에 장애가 오는 것을 뜻한다.
- 서술적 기억장애 (devlarative memory disoder)
서술적 기억(Declarative Knowledge)이란, 사실에 관한 지식을 표상하는 기억으로, 의도적인 접근과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의미 기억과 일화 기억을 모두 포함하는 기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