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5 11:09
본문
Download : 통사론.hwp
이 결과 한정적 C에 의하여 도입되는 절은 한정적 I를 포함하는 반면 지한정적인 C에 의하여 도입되는 절은 비한정적 I를 포함하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공I` analysis(분석) 을 지지하는 하나의 논의는 I와 C사이의 복잡한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세워질 수 있다아 이 상관 관계는 I와 C 사이에는 한정적인 C를 포함하는 절은 한정적인 I를 요구하는 반면 비한정적 C를 포함하는 절은 비한정적 I를 요구한다는 의미에서 일종의 `일치`관계가 성립한다는 사실로 예시해 보일 수 있다아 따라서 다음가 같이 conclusion 지을 수 있다아
(24) C를 포함하는 절은 그와 양립할 수 있는 I를 포함한다.
(23)(b)의 괄호 표시한 보어절의 구조에 대한 해석은 그것이 `공(empty)` I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공I` 분석을 지지... , 통사론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Download : 통사론.hwp( 74 )
레포트/기타
설명
다. 다시 말하면 I constituent 을 결하는 것처럼…(省略)






통사론
순서
(23)(b)의 괄호 표시한 보어절의 구조에 대한 해석은 그것이 `공(empty)` I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공I` analysis을 지지...
(23)(b)의 괄호 표시한 보어절의 구조에 대한 해석은 그것이 `공(empty)` I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만약 모든 보통절이 외현적이거나 내현적인 C를 포함한다고 한다면, 그것은 23)에서부터 모든 보통절 또한 외현적이거나 내재적인 I를 포함해야 한다는 conclusion 이다. 위의 23)에 얻어진 일반화에 대한 지지는 for와 같은 외현적인 보문자에 의하여 도입된 부정사 보어는 부정사적 소사인 to를 포함하는 I constituent 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에서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