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15 02:59
본문
Download : 향가_2014059.hwp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향가_2014059.hwp( 29 )
설명
향가






1. 향가
- 삼국시대 말엽에 발생하여 통일신라시대 때 성행하다가 말기부터 쇠퇴하기 처음 , 고려 초까지 존재하였던 한국 고유의 정형시가(定型詩歌).
2. 향가의형식
-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따 나누는 구분은 몇 줄로 쓰였는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10구체 결사의 첫 구 (9번째 줄의 첫 구)는 항상 `아으` 등의 감탄사를 동반하는데 이 점은 <시조> 종장 첫 3글자의 형식적 원형을 제공했다고 합니다. 4구체 향가는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 4수가 있습니다. 서동요의 경우 4구체 인데 이것 또한 4줄이라 4구체입니다. 10구체로 갈수록 향가의 완성도는 높아지게 됩니다.
3. 향가 작품
- 혜성가(彗星歌)》 《원왕생가(願往生歌)》 《원가(怨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안민가(安民歌)》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우적가(遇賊歌)》를 비롯하여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청전법륜가(請…(생략(省略))
향가향가 , 향가경영경제레포트 ,
향가
순서
향가
다. 8구체 향가는 모죽지랑가, 처용가 등이 있으며 10구체 향가는 혜성가, 원왕생가, 원가, 찬기파랑가 등등 18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