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종말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2-03 13:45
본문
Download : 조직신학 종말론.hwp
종말론에 마주향하여 다루고 있는 것은 학자들마다 상당히 태도에 차이가 있다 Berkhof는 종말론을 매우 간단하게 다루고 있다 또, Grudem은 개인적 종말론은 다루지 않고 우주적인 종말론만을 다루고 있다 이렇게 그 비중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지만, 종말론이야말로 성도들에게 소망과 삶의 의미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개념(槪念)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우리의 비젼으로 삼고 있는 “하나님 나라”는 종말론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문제이다. 즉, 개인이 죽음을 맞이했을 때 어떻게 되는가의 문제와,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셨을 때에 어떻게 되는가의 문제를 다룬다.조직신학 종말론
조직신학 종말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생략(省略))
2. 중간 상태
1) 음부(스올-하데스)설
Download : 조직신학 종말론.hwp( 46 )
,기타,레포트
다.
제1부 개인적 종말론
1. 육체적 죽음
Berkhof의 육체적 죽음에 대한 가르침은 아주 간단하다. 종말론 , 조직신학 종말론기타레포트 ,조직신학 종말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이 종말을 바라보며 소망하면서 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생의 자연적 관계들이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레포트/기타
종말론
순서
설명



종말론은 크게 개인적 종말론과 우주적 종말론으로 나뉜다. 이 죽음은 죄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원래 창조될 때부터 죽도록 만들어졌던 것이 아니다. 육체적 죽음을 볼 때, 우리가 기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이것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