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환자의 종류와 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04:39
본문
Download : 화상환자의 종류와 치료.hwp
환자에게 다가간 경우에도 함부로 전선을 치우지 않는다.
열에 의한 화상과 전기에 의한 화상 및 화학 약품,번개에 의한 화상, 흡인성 손상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3. 환자가 넘어져 있다면 척추손상여부를 확인한다.up화상환자의종류와치료 , 화상환자의 종류와 치료의약보건레포트 ,
다.
응급처치- 1. 사고지역이 안전한지 확인한다.
up화상환자의종류와치료
설명
순서






화상환자의 종류와 치료
Download : 화상환자의 종류와 치료.hwp( 94 )
레포트/의약보건
Ⅰ.열에 의한 화상
1. 화상의 깊이
2. 화상의 넓이
3. 화상의 응급처치-화상의 피부손상정도에 따른
4. 화상의 등급에 따른 치료
5. 화상 후 쇼크 치료
6. 화상상처 치료
7. 화상의 후유증 및 2차 수술
8. 피부이식수술
Ⅱ.전기에 의한 화상(electric burn)
Ⅲ.화학 약품에 의한 화상(chemical burn)
Ⅳ.번개에 의한 손상(Lightening injury)
Ⅴ.흡인성 손상(Inhalation burn)
Ⅱ.전기에 의한 화상(electric burn)
약한 가정용 110V전기 충격도 심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따 전기화상에는 두 가지가 있따
-불에 의한 화상: 전류에 의한 불꽃으로 화상을 입는 경우이다. 환자에게 접근하다가 다리와 하체에 찌릿한 느낌이 들면 그 자리에 선다. 이는 주변 에 전기가 통하고 있으며 전류가 한쪽발로 들어와 하체를 거쳐 다른 발로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한쪽 발을 땅에서 떼고 뒤로 돌아서 안전한 곳으로 뛰어온다.
5. 즉시 의사에게 보인다. 이때 외관상 보이는 상처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것으로 몸을 통과하는 고압전류는 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방해하고 심정지, 화상, 기타 다른 상처를 가져올 수 있따 전기의 충격을 받는 동안 전기는 접촉한 신체부위를 통해 서 몸 안으로 들어와 신경과 혈관을 따라 서 퍼지면서 몸 안에 심각한 손상을 입힌다.
*전선에 감전(실외)
아래로 늘어진 전선에 감전되었다면 먼저 전원을 차단한 후 구조자는 감전된 사람에게 접근한다.
4. 쇼크에 대비하여 다리를 20-30cm정도 올려주고 담요나 코트를 덮어 체온 손실을 막는다. 플러그와 코드를 빼고 전원을 차단한다.
2. 기도(A)-호흡(B)-순환(C)을 점검한다.
-감전에 의한 화상: 전류가 몸을 통과할 때 일어나는데 이는 특히 전류가 드나든 상처가 생긴다. 나무 막대기나 나무 손잡이가 달린 연장 또는 나뭇가지를 가지고도 치우려고 하면 안 된다 습기가 있는 물건은 물론 금속 물체인 경우에도 절대로 사용해선 안 된다 이는 전압이 상상할 수도 없게 높아 이러한 것들을 통해 전기가 통하고 구조자가 감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압전…(省略)
,의약보건,레포트
열에 의한 화상과 전기에 의한 화상 및 화학 약품,번개에 의한 화상, 흡인성 손상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대개 전기는 신체가 닿는 표면이나 지면으로 빠져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