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5 03:22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hwp
그는 《황제내경》, 한나라 때의 장중경, 수나라 때의 양상선, 금 원시대의 사대가로 이어지는 이전의 의역학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역(漢易)과 송역(宋易)을 접목시켜 《의역의》를 집필했다. 현…(생략(省略))
[의학,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
순서
![[의학,약학]%20한방의학%20-%20의약학에%20관한%20고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D%95%9C%EB%B0%A9%EC%9D%98%ED%95%99%20-%20%EC%9D%98%EC%95%BD%ED%95%99%EC%97%90%20%EA%B4%80%ED%95%9C%20%EA%B3%A0%EC%B0%B0_hwp_01.gif)
![[의학,약학]%20한방의학%20-%20의약학에%20관한%20고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D%95%9C%EB%B0%A9%EC%9D%98%ED%95%99%20-%20%EC%9D%98%EC%95%BD%ED%95%99%EC%97%90%20%EA%B4%80%ED%95%9C%20%EA%B3%A0%EC%B0%B0_hwp_02.gif)
![[의학,약학]%20한방의학%20-%20의약학에%20관한%20고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D%95%9C%EB%B0%A9%EC%9D%98%ED%95%99%20-%20%EC%9D%98%EC%95%BD%ED%95%99%EC%97%90%20%EA%B4%80%ED%95%9C%20%EA%B3%A0%EC%B0%B0_hwp_03.gif)
![[의학,약학]%20한방의학%20-%20의약학에%20관한%20고찰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D%95%9C%EB%B0%A9%EC%9D%98%ED%95%99%20-%20%EC%9D%98%EC%95%BD%ED%95%99%EC%97%90%20%EA%B4%80%ED%95%9C%20%EA%B3%A0%EC%B0%B0_hwp_04.gif)
![[의학,약학]%20한방의학%20-%20의약학에%20관한%20고찰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D%95%9C%EB%B0%A9%EC%9D%98%ED%95%99%20-%20%EC%9D%98%EC%95%BD%ED%95%99%EC%97%90%20%EA%B4%80%ED%95%9C%20%EA%B3%A0%EC%B0%B0_hwp_05.gif)
![[의학,약학]%20한방의학%20-%20의약학에%20관한%20고찰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D%95%9C%EB%B0%A9%EC%9D%98%ED%95%99%20-%20%EC%9D%98%EC%95%BD%ED%95%99%EC%97%90%20%EA%B4%80%ED%95%9C%20%EA%B3%A0%EC%B0%B0_hwp_06.gif)
[의학,약학],한방의학,-,의약학에,관한,고찰,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의학,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hwp( 62 )
설명
[의학,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 , [의학,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
레포트/의약보건
다.
[의학,약학]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
한방의학 - 의약학에 관한 고찰
`목차`
Ⅰ. 의역학의 定義(정이)와 발생
Ⅱ.한의학의 원리
1. 음양오행설
2. 음양학설
(1) 음양
(2) 음양의 속성
(3) 음양적 대상관
(4) 음양의 사상
3. 오행학설
(1) 오행
(2) 오행의 뜻
(3) 오행의 속성
(4) 오행의 상호관계
Ⅲ. 주역
1. 주역이란
(1) 역의 뜻
(2) 易經(역경)의 세 원칙
(3) 理(이), 象(상), 數(수) : 역을 보는 방향, 방법
2. 주역속의 의학
(1) 주역과 질병 예측의 의학
(2) 주역과 기공술
Ⅰ. 의역학의 定義(정이)와 발생
의역학(醫易學, translation)이란 의학과 역학을 접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의역”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명나라 때의 장개빈이다. 그의 공적으로 의역학은 청나라의 오당, 당종해 등으로 이어져 독립된 한의학의 theory(이론) 분과로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여기서 의학은 한의학(동양의학)을 말하고 역학을 주역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