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24 13:48
본문
Download :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hwp
2) 정서법의 혼란상
<…(skip)
한글 표기법 변천사중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중세국어의 문법상의 특징과 어휘상의 특징, 음운상의 특징, 성조체계와 마지막으로 용비어천가를 중심으로 중세국어를 살펴봤습니다. 이미 그 전통을 지킬 수 없을 만큼 언어가 현격히 change(변화)되어 있었고, 또 임진란이라는 대전란이 그러한 전통과의 단절을 가져왔다. 또한 평민문학의 대두로 인한 문자 사용의 확대가 이런 혼란을 촉진하였다.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한글 표기법 변천사중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고, 중세국어의 문법상의 특징과 어휘상의 특징, 음운상의 특징, 성조체계와 마지막으로 용비어천가를 중심으로 중세국어를 살펴봤습니다.
순서
설명
2. 근대국어표기법
- 임진란 이전과 이후의 문헌들 사이에는 문자 체계와 정서법에 많은 차이가 난다.
1) 체계상의 차이
15세기의 28자 문자 체계는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소실문자가 생겨남으로써, 사실상 25자 체계로 된다 (ㆆ ㅇ ㅿ자 제외)
① 방점 소실
16세기 후반의 일부 문헌에 이미 방점을 찍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었는데 17세기 초부터는 일반화되었다. 15세기 중엽 이래의 정서법 전통은 극도의 혼란을 경험하게 되었다.
③ `ㅿ`소실
ㅿ자는 표기상으로는 16세기말까지 근근이 유지되었으나 17세기에 들어서는 아예 쓰이지 않게 되었다.
② `ㅇ` 소실
16세기 `o`자의 사용은 종성에만 국한되었고, `ㅇ`자와 혼동되다가, 임진란 뒤부터는 완전히 `ㅇ` 에 합류되었다. ,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hwp( 12 )
다. 그러나 정제되고 통일된 새로운 정서법이 다시 마련되지는 않았고, 따라서 혼란상태가 17세기를 거쳐 18, 19세기에 내려올수록 더욱 심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