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1 06:24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hwp
이에, 전정당문학사(前政堂文學士) 권중화가 계룡산을 천거 1393년 신도 조영에 착수하였다가 경기도 observe사 하륜의 반대로 중지한 후 모악산(서을 신촌일대)을 후보지로 정하였으나 다시 1394년에 무학대사의 권고에 따라 한양(서울)을 적지로 선정하고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圖監)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국도건설에 들어갔다. 처음에 한양(서울)에 천도를 지시하였으나 다시 팔도방백에게 도읍터를 물색하도록 하였다.
1394년 신도축조도감을…(省略)
(2) 배치와 축성
(3) 가로망과 시가지계획
(4) 배수계획과 방화시설
순서
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 , 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조선시대 도시 검토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hwp( 17 )
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
조선시대,도시,검토,인문사회,레포트




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
설명
다. 1398년 정종원년에 왕자의 난이 일어나 일시 옛 도읍지 개경으로 옮겼다가 1405년 한양으로 이도하여 조선조 500년의 도읍지가 되었다.
조선시대의 도시에 대한 검토 (한양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