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환경과 건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16:23
본문
Download : 기후환경과 건축.hwp
또한 극도로 추운 지방인 한랭기후권 지역에서는 그들이 쉽게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공학기술
다. 여름철에는 강한 일사를 차단하는 효능를 주어 토방에 그늘을 만들어 주었고, 겨울에는 많은 풍설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우데기는 방설설계로만 주로 주목되어 왔으나 그 외에도 방풍, 방우, 차양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이 지역 주민들이 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해낸 건축 재료였음을 알 수 있다아 또 울릉도의 가옥에는 남부형에 속하여 마루가 있으나 또 하나 마루 대신 넓은 토방이 있다아
[그림 2-26]
[그림 2-27] 우데기
3. 결 론
위에 조사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형태는 그 지역의 기후environment(환경) 과 자연environment(환경) 에 의해 서로 상당히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아 고온다습한 기후에서는 뜨거운 태양열과 지열을 피하기 위하여 원두막 형태의 건물을 지어 아래로도 바람이 통하여 통풍이 잘되게 하여 쾌적한 environment(환경) 을 만들려 노력 해왔고, 고온건조한 기후권에서는 인간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건물의 개구부를 좁게 만들거나 실내로 들어오는 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두꺼운 벽을 선택하는 등 쾌적한 environment(환경) 을 만들어왔다.
이는 많이 쌓인 눈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통나무를 이용해 귀틀집을 짓고, 마당에 눈이 높이 쌓이면 통행하기 어려우므로 방과 방 사이의 통로가 눈으로 막히지 않도록 우데기를 설치한 것이다.
순서
기후환경과 건축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기후환경과 건축
[Report]기후환경과건축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기후환경과 건축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눈이 자연적으로 지붕에서 떨어지도록 지붕의 경사를 급하게 두기도 하였다.[Report]기후환경과건축 , 기후환경과 건축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기후환경과 건축.hwp( 38 )
목 차
1. 서 론
2. 본 론
2.1 기후environment(환경)
2.1.1 기온
2.1.2 습도
2.1.3 일사
2.1.4 강수량
2.1.5 바람
2.2 기후environment(환경) 의 형태와 건축
2.2.1 고온다습기후(Warm-Humid Climates)
2.2.2 고온건조기후(Hot-Arid Climates)
2.2.3 온난기후(Temperate Climates)
2.2.4 한냉기후(Cold Climates)
2.2.5 열대습윤기후
2.3 기후environment(환경) 과 한국건축
2.3.1 지형적 特性과 입지선정
2.3.2 전통가옥의 지역적 特性
2.3.3 남부지방
2.3.4 중부지방
2.3.5 북부지방
2.3.6 도서지방
3. 결 론
이러한 기후에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 옛 선조들은 집을 높게 짓고 특수한 구조를 취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다설지역의 가옥으로 울릉도의 집을 들어보겠다. 귀틀집은 통나무를 포개어 쌓아 만든 집이며, 우데기는 지붕처마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억새풀이나 싸리가지를 이용해 만든 또 하나의 벽을 말한다. 울릉도의 집은 귀틀집과 우데기가 특징이다. 한랭한 북서풍과 북동풍의 방풍벽도 되었으며, 바람과 함게 들이치는 비를 막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