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교와 불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5 04:47
본문
Download : 무교와 불교.pptx
”(마레트)
왜 이웃 종교에 상대하여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는가?…(省略)
4. 무병과 신내림
5. 무당의 종류
6. 굿
7. 굿의 종류와 내용
8. 신령 이란
9. 신령은 존재하는가?
10. 무교와 우리
11. 사람들이 점을 보는 이유
1. 무교
무교란 ?
무교는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없는 큰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려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
2. 한국 무교의 기원
정확한 기원과 歷史(역사)적 발전과정을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한 종교현상으로 아프리카와 유럽을 제외한 거의 모든 세계에 퍼져있따
학자들은 동북아시아의 시베리아에 있던 퉁그스족의 샤머니즘에서 그 전형적인 것을 찾으며 한국의 것을 그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본다.”(막스 밀러)
왜 이웃 종교에 상대하여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는가?
_SLIDE_2_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
2. 내 이웃의 종교를 더욱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
“종교 간의 대화 없이 종교 간의 평화가 있을 수 없고, 종교 간의 평화 없이 세계 평화가 있을 수 없다. 이것이 가능 하려면 일단 속된 존재로서는 죽고 성스러운 존재로 다시 태어나야 하는데, 이전의 속된 인간이 죽기 위해서 무당 후보자는 무병(巫病) 혹은 신병(神病)을 앓아야 한다.굿과 같은 무당의 활동을 금지하는 법률이 제정
4. 무병과 신내림
속된 인간들은 하늘이나 신령과 직접 통할 수 없다.
5. 무당의 종류
① 세습 무?
말 그대로 집안 대대로 이어져 내려와 무속인의 기운을 가지고 태어나며 무속인의 삶이 결정되는 형태를 말한다.
②오구 굿
영혼들을 저승세계로 안전하게 도착하게 해주는 굿이다.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 정상부근의 삼불봉 부근에서 함께 기도해 오던 동료 무속인 K모(여·69)씨가 소변을 보러 나가자 몰래 뒤따라 간 뒤 강씨 등을 밀어 추락케 해 살해하려 한 혐의다.”(한스 큉)
왜 이웃 종교에 상대하여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는가?
_SLIDE_3_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
3. 우리가 누구인지 알기 위해서.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하는 가장큰 특징은 인간이 ‘종교적’이라는 사실이다.
하지만 단순히 무의식의 투사로 보기에는 어렵다.
3. 한국 무교의 歷史(역사)
① 초기 歷史(역사)
국가가 형성되기 이전인 부족사회 혹은 부족 연맹사회 때에는 정치적 수장(왕) = 종교적 사제(무당)
② 고려의 무교
③ 조선과 현대의 무교
무당은 조선조가 되면서 더 이상 신분이 떨어질 데가 없는
최하층 천민계층(백정이나 노예)으로 전락하였다.
② 강신 무?
신이 내려서 된 무당.
③ 신병
6. 굿
목적 : 복을 구하고 재앙을 물리침
종류 :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같은 것이라도 사람이나 지방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등 하나의 일관된 모습으로 굿을 보기란 쉽지 않다.
이 가운데 주종을 이루는 부분은 천신과 지신류로서 일?월?성?신에 관한 신령, 또 산신, 수신등 자연계에 있는 사물이나 현상을 의인화하여 만든 신령을 통칭해서 말하는데 전체신령의 60% 이상을 점유한다고 한다.
8. 신령 이란
천신류, 지신류, 인신류, 잡귀류 등의 넷으로 분류한다.
9. 신령은 존재하는가?
신령을 모시고 살면서 굿을 통해 공수(대개 강신무들이 사설과 춤으로 신을 받아 스스로 신격화되어 인간에게 내리는 말)를 전달하는 현상에 대해, 어떤 정신 심리학자는 이 현상이 마음이 투사된 것에 불과하다느니, 콤플렉스가 발현된 정신병이라느니 하면서 ‘유아적인 소망 충족’적 행위라고 해석한다.
_SLIDE_1_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
1. 내 종교를 더욱 깊이 알기 위해서.
“하나의 종교만 아는 사람은 아무 종교도 모르는 것과 같다. 이것은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농경사회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된다.그러나 자신보다 늦게 기도를 처음 한 K씨가 먼저 ‘신내림’을 받자 이를 시기해 K씨를 살해하려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10.
레포트/경영경제
무교와 불교 , 무교와 불교경영경제레포트 , 무교와 불교
무교와,불교,경영경제,레포트
무교와 불교
설명
무교와 불교
순서
Download : 무교와 불교.pptx( 21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