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호칭 지칭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2 21:56
본문
Download : 북한의 호칭 지칭 연구.hwp
2.2. 일종의 통치 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은 북한의 모든 삶의 양식을 결정 짓는 강한 통제 규범이다.
언어는 민족을 특징짓는 공통성가운데서 가장 중요한것의 하나입니다. 언어 생활…(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북한의 호칭 지칭 연구
순서






북한은 1964년과 1966년의 김일성 교시를 기점으로 문화어를 바탕으로 한 `주체적`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그 골격을 그... , 북한의 호칭 지칭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피줄이 같고 한령토안에서 살아도 언어가 다르면 하나의 민족이라고 말할수 없습니다.레포트/인문사회
북한은 1964년과 1966년의 김일성 교시를 기점으로 文化(문화)어를 바탕으로 한 `주체적`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그 골격을 그...
Download : 북한의 호칭 지칭 연구.hwp( 88 )
북한은 1964년과 1966년의 김일성 교시를 기점으로 文化어를 바탕으로 한 `주체적`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그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따 1960년대 중반은 김형찬(1990)의 분류에 의하면 주체사상 확립기에 속하는데, 이 시기에 주체사상은 민족적 주체 입장으로 자리잡기 처음 하였다. ([김일성저작선집] 4권)
특히 주체사상에서 민족적 特性으로서 언어의 성격을 강조하는 것은 언어 생활 개조의 문제가 민족 자주 투쟁의 문제와 직결되며 `미제를 우두머리로 하는 제국주의자들의 민족어말살정책으로부터 민족어를 지켜내기 위한 투쟁이 민족해방투쟁의 한 고리`([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리론] p. 42)가 된다고 보기 때문이기도 하다.
주체사상은 확립기부터 민족주의적 성격을 띠었기 때문에 주체사상에서 언어는 아주 특별한 의미를 부여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