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5 23:45
본문
Download : [공학,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hwp
② 잔골재용 및 굵은 골재용 체들 각각의 무게를 잰다. 조립 률(FM)은 75㎜, 40㎜, 20㎜, 10㎜, 5㎜, 2.5㎜, 1.2㎜, 0.6㎜, 0.3㎜, 0.15㎜ 체의 10 개를 따로 따로 사용하여 체에 남은 양의 누계(%)값을 100으로 나눈 값이다.
흙의 입도분포는 흙의 종류에 따라서 체分析(분석)이나 비중계分析(분석)을 실시하여 구한다.
(7) 결과를 도시하려면 횡축에 체눈의 크기를, 종축에는 각 체에 남는 시료의 중량(%)값 을 점으로 찍는다. 중량 백분율 의 표시는 이와 가장 가까운 정수로 한다.(plot)
(8) 시험은 2회 이상으로 하고 그 평균(average)값을 취한다.
[공학,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 , [공학,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공학기술레포트 , [공학 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
[공학,기술]토질역학,-,골재의,체가름,시험법,공학기술,레포트
순서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
1. 실험 목적
흙을 토목재료로 사용하는 구조물 즉, 흙댐이나 하천제방, 도로 도는 비행장 활주로에서는 흙의 工學(공학) 적인 성질을 파악하는데 흙입자의 크기와 그 입도분포가 대단히 중요한 data(資料)로 사용된다 따라서 흙의 입도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모든 토질시험의 기초로 되어 있따흙 시료를 입경별 표준 체로 쳐서 남은 무게를 재서 가적잔류율과 가적통과율을 계산한 결과로 입도분포 곡선을 그린다. 입도분포 곡선에서 유효입경(), 균등계수()와 곡률계수()를 구해서 분포가 균등한가 또는 몰려있는가를 판별한다.
(2) 체를 체진동기 (sieve shaker)에 걸어 놓은 다음 시료를 맨 위 체에 조심하여 붓는다.
(3) 체진동기로서 1분간에 각 체에 남은 시료랑의 1% 이상이 그 체를 통과하지 않을 때 까지 계속한다(다시 손으로 체가름하여 1분간에 각 체가 남은 시료의 1% 이하가 되었 는가를 확인한다.
(6) 최대지수 및 조립률(fineness modulus : FM)을 구한다.
③ 잔골재용, 굵은 골재용 체를 次例로
[Engineering,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Download : [공학,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hwp( 90 )
[Engineering,기술]토질역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법
다. 1㎠당 0.6g 이상의 시료가 체에 남아 서는 안된다 (내경이 20㎝인 표준체의 넓이는 314㎠이므로 체가름이 끝났을 때 남는 양이 188g이하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