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J. Raz)의 자유주의적 완전주의의 전제들: 자율성, 다원주의 그리고 실천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9 19:23
본문
Download : 라즈(J Raz)의 자유주의적 완전주의의 전제들 자율성, 다원주의 그리고 실천철학.hwp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롤즈(J. Rawls), 라-모어(C. Larmore) 및 드워킨(R. Dworkin)과 같은 중립주의적 자유주의자들과 달리, 라즈는 ‘권리의 선에 대한 우선성`(the priority of right over the good)을 거부하고 선과 권리(옮음)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한다. 그 결과, 그의 자유주의 정치理論(이론)은 그 구조에 있어서나 귀결에 있어 롤즈, 드워킨 등의 정치적 자유주의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따 그렇지만 그는 자율성(자유)이라는 가치를 적극 지지하며, 개인의 행복추구는 서로 우열을 비교할 수 없는 다양한 가치관들이 공존하는 다원주의적 상황에서만 가능하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자유주의자로 분류되기에 결코 손색이 없다. 그리고 관용이라는 자유주의적 덕목과 아울러 자유민주주의의 전통적 …(생략(省略))
순서
Download : 라즈(J Raz)의 자유주의적 완전주의의 전제들 자율성, 다원주의 그리고 실천철학.hwp( 85 )
라즈의완전주의적자유주의의전제들
레포트/인문사회
중립주의적 자유주의자들과 달리 선과 권리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했던 조셉 라즈의 이론에 대해서 정리(整理) 하였습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그는 개인의 자기정체와 가치에 관한 인식은 그 개인의 특수한 사회적 경험과 분리될 수 없다는 공동체주의자들의 ‘사회성 명제`(social thesis) 에 입각하여 자유주의를 새롭게 정초하고자 시도해 왔다.라즈의완전주의적자유주의의전제들 , 라즈(J. Raz)의 자유주의적 완전주의의 전제들: 자율성, 다원주의 그리고 실천철학인문사회레포트 ,
라즈(J. Raz)의 자유주의적 완전주의의 전제들: 자율성, 다원주의 그리고 실천철학
%EC%9D%98%20%EC%9E%90%EC%9C%A0%EC%A3%BC%EC%9D%98%EC%A0%81%20%EC%99%84%EC%A0%84%EC%A3%BC%EC%9D%98%EC%9D%98%20%EC%A0%84%EC%A0%9C%EB%93%A4%20%EC%9E%90%EC%9C%A8%EC%84%B1,%20%EB%8B%A4%EC%9B%90%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C%8B%A4%EC%B2%9C%EC%B2%A0%ED%95%99_hwp_01.gif)
%EC%9D%98%20%EC%9E%90%EC%9C%A0%EC%A3%BC%EC%9D%98%EC%A0%81%20%EC%99%84%EC%A0%84%EC%A3%BC%EC%9D%98%EC%9D%98%20%EC%A0%84%EC%A0%9C%EB%93%A4%20%EC%9E%90%EC%9C%A8%EC%84%B1,%20%EB%8B%A4%EC%9B%90%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C%8B%A4%EC%B2%9C%EC%B2%A0%ED%95%99_hwp_02.gif)
%EC%9D%98%20%EC%9E%90%EC%9C%A0%EC%A3%BC%EC%9D%98%EC%A0%81%20%EC%99%84%EC%A0%84%EC%A3%BC%EC%9D%98%EC%9D%98%20%EC%A0%84%EC%A0%9C%EB%93%A4%20%EC%9E%90%EC%9C%A8%EC%84%B1,%20%EB%8B%A4%EC%9B%90%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C%8B%A4%EC%B2%9C%EC%B2%A0%ED%95%99_hwp_03.gif)
%EC%9D%98%20%EC%9E%90%EC%9C%A0%EC%A3%BC%EC%9D%98%EC%A0%81%20%EC%99%84%EC%A0%84%EC%A3%BC%EC%9D%98%EC%9D%98%20%EC%A0%84%EC%A0%9C%EB%93%A4%20%EC%9E%90%EC%9C%A8%EC%84%B1,%20%EB%8B%A4%EC%9B%90%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C%8B%A4%EC%B2%9C%EC%B2%A0%ED%95%99_hwp_04.gif)
%EC%9D%98%20%EC%9E%90%EC%9C%A0%EC%A3%BC%EC%9D%98%EC%A0%81%20%EC%99%84%EC%A0%84%EC%A3%BC%EC%9D%98%EC%9D%98%20%EC%A0%84%EC%A0%9C%EB%93%A4%20%EC%9E%90%EC%9C%A8%EC%84%B1,%20%EB%8B%A4%EC%9B%90%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C%8B%A4%EC%B2%9C%EC%B2%A0%ED%95%99_hwp_05.gif)
%EC%9D%98%20%EC%9E%90%EC%9C%A0%EC%A3%BC%EC%9D%98%EC%A0%81%20%EC%99%84%EC%A0%84%EC%A3%BC%EC%9D%98%EC%9D%98%20%EC%A0%84%EC%A0%9C%EB%93%A4%20%EC%9E%90%EC%9C%A8%EC%84%B1,%20%EB%8B%A4%EC%9B%90%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C%8B%A4%EC%B2%9C%EC%B2%A0%ED%95%99_hwp_06.gif)
오랫동안 법철학자 겸 실천이성(practical reason)의 理論(이론)가로 잘 알려진 조셉 라즈가 자유주의 전통의 독특한 해석가로서 새롭게 부각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중립주의적 자유주의자들과 달리 선과 권리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했던 조셉 라즈의 이론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