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8-23 09:09
본문
Download : 이가연-8.hwp
자신을 이롭게 하는 정이는 동물세계에서의 정이이지, 인간세계에서의 정이는 아닌 것이다. 즉, 권력가 행사는 자신의 이익에 앞서 국민을 위해 행사될 때 비로소 정이가 구현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Download : 이가연-8.hwp( 69 )






설명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철학
1.플라톤 철학) 정이正義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정이의 槪念에 대한 당시 그리스 사회의 시각을 세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정이는 공정公正한 것'이라는 시각이다. 플라톤이 이야기하는 공정이란 '받은 대로 값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정이에 대한 현실론적 해석으로, 같은 일을 해도 지배자가 하느냐, 피지배자가 하느냐에 따라서 정이가 되느냐, 불의가 되느냐 판가름 되어지는 세태를 반영하는 논리이다. 이는 플라톤 자신의 정…(투비컨티뉴드 )
순서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철학,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철학,인문사회,레포트
1. 플라톤 철학, 1) 정의, 2) 영혼, 3) 이데아, 4) 사랑, , 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1) 예술론, 2) 윤리론, 3) 형이상학, , , FileSize : 38K ,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인문사회레포트 ,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철학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철학
레포트/인문사회
1. 플라톤 철학, 1) 定義(정의), 2) 영혼, 3) 이데아, 4) 사랑, , 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1) 예술론, 2) 윤리론, 3) 형이상학, , , filesize : 38K
다. 그러나 플라톤은 힘이 항상 정이인 것은 아니라고 못박는다. 그러나 악惡을 악으로 값는 행위를 과연 정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인지, 이러한 정이의 槪念이 사랑과 관용이 결여된 행위의 정당화로 남용될 소지는 없는 것인지 따져볼 필요는 있다 둘째, "정이는 '힘'으로부터 나온다"는 시각이다. 셋째, '정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몫을 다하는 것'이라는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