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주거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30 03:06
본문
Download : 대학주거문화.hwp
그런데 이 통계는 주의해서 볼 필요가 있따 위에서 말한 시설정원은 대학정원과는 다른 것으로 대학교육에 필요한 교사(校舍)등의 학교시설의 최소한 확보를 위해 교육부에서 마련하고 있는 정원이다. 이중에서 특히 정책적인 해결해야할문제의 核心(핵심)은…(drop)
대학주거문화
다. 따라서 시설정원대비 기숙사 수용율은 실제 대학생대비 수용율로 따질 경우 더욱 내려갈 가능성이 있따
5. 맺음말
간략하게 우리나라 대학생주거의 속성 과 기숙사 확보상황에 비추어 대학생 주거reality(실태) 를 살펴보았다.
대학주거문화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대학주거문화.hwp( 38 )
레포트/인문사회
대학주거문화 , 대학주거문화인문사회레포트 ,






4년제 대학교의 주거시설 확보현재상황을 살펴보자. 2002년 교육부data(자료)에 의하면 전체 대학의 시설정원대비 기숙사 수용인원은 10.9%에 불과한 실정이다(교육부, 2002). 사립대학원 대학교(2년제 대학원만 있는 학교)가 43.7%로 기숙사 수용율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립각종학교(신학교 등), 사립산업대, 교육대 순이었으며 국립대학은 10.3%, 사립대학은 11%등이다. 예를 들어 강의실 한 개에 한꺼번에 교육받을 수 있는 정원이 40명이라고 했을 때 이는 시설정원임. 그러나 대학별로 야간대학이 있는 경우 주야간 강의를 한다면 80명의 학생을 선발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때도 시설정원은 40명이 된다된다.